성서 정과/설교 자료 347

예레미야 37:1~10 <다시 돌아오다> 찬송 366장 어두운 내 눈 밝히사 * 갈대아 군대의 예루살렘 포위 (렘 37:1-10)

예레미야 37:1~10 찬송 366장 어두운 내 눈 밝히사 Ⅰ. 갈대아 군대의 예루살렘 포위 (렘 37:1-10) (1) 예레미야의 설교는 무시되었다(1,2절). 시드기야는 고니야, 즉 여고냐를 계승하여 왕위에 올랐으며, 자신의 선임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무시함으로 받은 치명적인 결과들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고를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그와 그 신하와 그 땅 백성이 여호와께서...하신 말씀을 듣지 아니하니라. 그 말씀이 이미 성취되기 시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계속 그러하였다. (2) 이때에 예레미야의 기도가 요청되었다. 시드기야는 그에게 사신을 보내어 `너는 우리를 위하여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기도하라`고 말하였다. 그는 전에도 그렇게 한 적이 있었다(참조. 21:1,2 렘 21:1,2)..

7월 28일(오순절 후 10째) 주일 설교 자료

주일 설교 자료(7월 28일, 성령강림 후 10주) 글쓴이 : 조헌정 참고: (『Feasting on the Wor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9) ● 《Feasting on the Word》는 미국과 캐나다 대부분의 교단(가톨릭 포함) 신학자들과 목회자들 수백 명이 참여하여 만든 3년을 한 주기로 한 상당한 분량의 교회력 본문 보조자료 책자이다. 한 본문에 대해 네 가지 관점에서 네 명의 저자들이 글을 썼지만, 중복되는 부분도 있고, 북미교회의 목회자들을 위한 글이기에 한국교회 상황에 맞지 않는 내용이 많아 저자들의 핵심 관점만을 뽑아 재해석하였다. 절기 구분에 있어서 본 책은 대림절, 성탄절, 주현절, 사순절, 부활절, 성령강림절 순으로 언급하고 성령강림절 이후는 ..

예레미야 36:20~32 <다시 기록되다> 찬송 529장 온유한 주님의 음성 * 책을 소각한 여호야김 (렘 36:20-32)

예레미야 36:20~32 찬송 529장 온유한 주님의 음성 Ⅲ. 책을 소각한 여호야김 (렘 36:20-32) (1) 두루마리에 대한 말을 듣자 왕은 그것을 가져오게 하여 자기에게 읽게 하였다(20,21절). 그는 바룩이 직접 와서 그것을 읽기를 바라지 않았다. 바룩이 읽었더라면 누구보다도 지혜롭게, 권위를 가지고 열의있게 낭독했을 것이었다. 그러나 왕은 두루마리를 가지고 와서 기다리고 서있던 그의 시종 여후디에게 읽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경시하는 자들은 이 왕처럼 곧 겉으로 드러난다. 그들은 말씀을 싫어하여 그것을 보잘것없는 것으로 여길 뿐만 아니라 나쁘게 생각한다. (2) 왕은 방백들과는 달리 그것이 낭독되는 것을 끝까지 참고 듣기조차 아니하였다. 그는 `삼편 사편`까지 듣고는 격분하여..

예레미야 36:1~19 <기록하라, 낭독하라> 찬송 201장, 참 사람되신 말씀

예레미야 36:1~19 찬송 201장, 참 사람되신 말씀 Ⅰ. 바룩이 기록한 두루마리 책 (렘 36:1-8) (1) 하나님께서는 예레미야에게 그의 설교의 개요를 기록하라는 명을 내리신다. 그가 처음 말씀을 전파하기 시작한 요시야 13년에서부터 여호야김 통치 4년인 `오늘까지`의 설교에 대해서이다(2,3절). 백성들이 한번 들은 내용은 다시 되풀이하여 말해져야 했으며 그들은 그 내용을 다시 접할 수 있어야 했다. 유다 족속이...듣고 각기 악한 길에서 돌이킬 듯하니라. 즉 그들이 이 말씀을 듣고 각기 악한 길에서 돌이킬 것이라는 희망에서이다. 죄인들의 회심이야말로 사역자들이 말씀을 전하는 목적인 것이다. 이 점을 알지 못한다면 말씀을 들어도 헛될 뿐이다. 그리하면 내가 그 악과 죄를 사하리라. 이 말씀은 ..

예레미야 35:1~19 < 레갑 자손의 순종 > 찬송 545장,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뵈어도

예레미야 35:1~19 찬송 545장 이 눈에 아무 증거 아니 뵈어도 Ⅰ. 레갑 족속의 모범 (렘 35:1-11) 이 장은 `여호야김 때에` 일어난 사건과 말해진 것들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1절). 이것은 그의 재위의 말기에 일어난 일이었다. 왜냐하면 바벨론 왕이 그의 군대를 이끌고 `이 땅에 올라온` 후의 일이기 때문이다(11절). 예레미야는 반항적인 백성들에게 레갑 족속을 예로 들어 말하나. 레갑 족속은 스스로를 구별하여 살아가고 있는 족속이었다. 역대상의 말씀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그들은 본래 겐 족속이었다(대상 2:55). `이는 다 레갑의 집 조상 함맛에게서 나온 겐 족속이더라.` 겐 족속 가운데 적어도 이스라엘 땅에 정착할 권리를 얻었던 자들은 모세의 장인 호밥의 후예..

예레미야 34:8~22 <이스라엘의 변심과 하나님의 변심> 찬송 276장. 아버지여 이 죄인을

예레미야 34:8~22 찬송 276장. 아버지여 이 죄인을 Ⅱ. 반역한 백성들의 운명 (렘 34:8-22) (1) 예루살렘이 갈대아 군대에 겹겹이 포위되어 있는 동안에 왕과 백성들은 그들의 종에 관하여 한가지를 개혁학기로 동의하였다. 하나님의 율법은 같은 동족으로서 종이 된 사람들을 7년 이상 부리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즉 그들이 연한을 채운 후에야 자유를 얻을 수 있었다. 그들이 빚을 갚기 위하여 스스로 팔렸거나 아니면 범죄에 대한 징벌로 재판관에 의하여 팔렸거나간에 마찬가지였다. 전쟁으로 잡혀오거나 돈을 주고 사온 이방인들은 영구적인 종으로 부릴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동족은 7년 동안만 부릴 수 있을 뿐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것을 그들과 맺으신 언약에서 규정하셨다. 그때는 저희 선조를 `..

예레미야 34:1~7 <마지막 경고> 찬송 531장 자비한 주께서 부르시네

예레미야(Jeremiah) 34:1~7 찬송가 531장 자비한 주께서 부르시네 Ⅰ. 시드기야의 운명에 대한 예언 (렘 34:1-7) 시드기야왕에 관한 이 예언이 예레미야에게 전해졌고, 따라서 예레미야는 모든 관련된 자들에게 이 소식을 전하였다. 이것은 그가 감옥게 갇히기 전이었다(렘 32:4). (1) 이 메시지는 `바벨론 왕이 모든 군사력을 동원하여 예루살렘과 그 모든 성읍을 칠 때` 시드기야에게 전달되었다(1절). 바벨론 왕은 그들을 멸절시키려고 계획하고 있었다. 지금 남아 있는, 아직 방어 중에 있는 성읍들은 `라기스와 아세가` 둘 뿐이었다(7절). 이것은 사태가 이제 한계점에 이르렀음을 암시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시드기야는 여전히 완고하게 버티고 있었다. (2) 시드기야는 이전에도 자주 들었던 말..

예레미야 33:14~26 <언약을 잊지 않으신 하나님> 찬송 312장.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예레미야 33:14~26 찬송가 312장 너 하나님께 이끌리어 Ⅲ. 하나님의 언약과 확실성 (렘 33:17-26) 하나님의 언약 세 가지, 곧 다윗과 그의 후손과 맺은 왕권에 대한 언약, 아론과 그의 후손과 맺은 제사장과의 언약, 그리고 아브라함과 그의 자손과 맺은 언약들이 포로 생활 동안에 완전히 깨어지고 잊혀진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 언약들의 참되 취지와 의도가 신약 시대의 축복들에서 풍성하게 응답될 것이 약속되고 있다. 이것은 포로 생활에서 귀향한 후 유대인들에게 베풀어진 것들에 의해 예표되었다. (1) 왕권에 대한 언약은 다윗의 아들, 그리스도의 왕국에서 온전히 이루어진다(17절). 이스라엘의 왕위는 포로됨으로 말미암아 끊겨졌었다. `이스라엘 집 위에 앉을 사람이` 없었다. 그들이..

예레미야 33:1~13 <일을 행하시는 여호와> 찬송 363장. 내가 깊은 곳에서

예레미야 33:1~13 찬송 363장, 내가 깊은 곳에서 Ⅰ. 성의 재건과 죄의 용서 (렘 33:1-9) 1. 이 예언의 시기(1) 이 위로의 예언이 주어진 시기는 전 장의 사건의 연속으로 사태가 더욱 악화되어 가고 있을 때이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두 번째 말씀이다.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다시 임하니라. 이 말씀은 두 번째 임한 것이다. 이는 그의 백성을 격려해 주기 위함이었다. 우리는 의무를 행하기 위하여 경계에 경계를 필요로 할 만큼 그렇게 불복종하는 자들을 뿐만 아니라 위안을 받기 위하여 약속에 약속을 필요로 할만큼 그렇게 불신으로 가득찬 자들이다. 이 말씀은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예레미야가 아직 갇혔을 때에` 그에게 임하였다. 2. 예언의 내용(2-9) (1) 이 위로를 그들에게 확증해 주시는..

7월 21일(성령강림절 9째) 주일 설교 자료

7월 21일(성령강림절 9째) 주일 설교 자료 글쓴이 : 조헌정 참고: (『Feasting on the Word』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9) ● 《Feasting on the Word》는 미국과 캐나다 대부분의 교단(가톨릭 포함) 신학자들과 목회자들 수백 명이 참여하여 만든 3년을 한 주기로 한 상당한 분량의 교회력 본문 보조 자료 책자이다. 한 본문에 대해 네 가지 관점에서 네 명의 저자들이 글을 썼지만, 중복되는 부분도 있고, 북미교회의 목회자들을 위한 글이기에 한국교회 상황에 맞지 않는 내용이 많아 저자들의 핵심 관점만을 뽑아 재해석하였다. 절기 구분에 있어서 본 책은 대림절, 성탄절, 주현절, 사순절, 부활절, 성령강림절 순으로 언급하고 성령강림절 이후는 날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