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도덕적 위기극복을 위한 철학적 처방”
저자 황경식, 박범수, 이초식, 정인재, 이기상
발행일 1993 판형 신국판 쪽수 256쪽
ISBN 978-89-7105-056-9
도서 소개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물질에 대한 풍요를 누리고 있는 반면 도덕성의 상실과 청소년의 가치관 혼란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장과 발달이라는 대전제 아래에서 인간의 정신적 행복의 추구는 우선순위에서 물러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1991년 '한국사회의 도덕적 위기극복을 위한 철학적 처방'이라는 제목의 연구과제를 공개모집하여 그 연구결과를 한 데 묶었다.
저자 소개
황경식. 철학 전공, 서울대학교 교수 논저로는 『토론꺼리 논술꺼리』, 『해리의 발견 1,2』 등이 있다.
박범수. 교육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쇼펜하우어의 생애와 사상』, 「생의 철학으로서의실존철학」 등이 있다.
이초식. 철학 전공,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다시 '1만 시간 공부'에 도전하는 희열」, 「결단이론의 구조, 논점 및 응용」 등이 있다.
정인재. 동양철학 전공,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중공학계의 양명학 해석 (中共學界의 陽明學 解釋)」 등이 있다.
이기상. 철학 전공,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논저로는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지구촌 시대와 문화콘텐츠』 등이 있다.
차례
1. 민주 시민의식의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_ 황경식
2. 도덕과 교육의 문제점 _ 박범수
3. 도덕성 회복을 위한 논리교육 _ 이초식
4. 도덕성 회복을 위한 동양철학의 한 시론 ―인륜의 현대적 해석을 중심으로 _ 정인재
5. 우리 사회 청소년들의 방황과 탈선 _ 이기상
(추천 도서 2)
“포스트모던에서 신학하기”
저자 이상훈
발행일 2017-12-30
판형 신국판
쪽수 288쪽
ISBN 979-11-5866-273-8
도서 소개
사람들은 비슷한 문화 코드를 공유한 상태여야 언어로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다. 그런데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는 그런 전제들이 비논리적이고 상상 속에만 있다고 본다. 그러한 생각이 세대를 거쳐 자리 잡으면서 정체성의 파편화와 감각적 세계 인식은 하나의 생활양식이 된 듯하다. 저자는 이제 어떻게 정체성을 지키고 또 서로를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이 책은 현대인의 혼란을 해소할 방법으로 ‘믿음’에 주목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체와 객체의 상호 운동성(담론)에 주목하여 근대의 합리주의, 이성중심주의를 해체한 과정을 추적하고, 근대의 과학적ㆍ기계론적 사유가 인간을 물질로 환원한 것을 비판한다.
중세 종교가 근대적 이성과 합리성의 물결에 휩쓸리던 시기를 반추하면서, 현대 사회의 혼돈 양상을 네 가지로 분류한다. 가치와 규범의 혼재, 적대적 이질 문화의 충돌, 종교의 다양성, 중심성과 주변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각각 한경직, 김교신, 유영모, 이정용이라는 신학자를 등장시켜 주제를 전개한다. 감각할 수 없는 신의 존재를 확신하면서도 각자의 방식으로 현실을 살아내고자 했던 신학자들의 모습을 상세히 소개한다. 그들을 힌트 삼아 우리가 현대의 혼돈 속에서 자신을 세우도록 북돋는다.
저자 소개
이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드류대학교(Drew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문화로 엿보는 그리스도, 예수로 바라보 는 문화』(2003), 『신학적 문화 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2005), 『인간 본성에 관한 신학적 사고』(2007),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2010), 「Normadism and the Discovery of the Nation; The Case of Yun ChiHo」(2010) 등이 있다.
차례
들어가면서
포스트모던 사회 이해
1 철학의 종언과 포스트모던
2 인식의 새로운 지평, 이성 그 너머
3 포스트모던 담론 이해와 수용 문화
신학의 대두와 전개
1 ‘자아의 이해’를 넘어 재조합으로
2 주체에 대한 해석학적 반추
3 문자주의를 넘어서는 상징의 재발견
4 포스트모던의 새로운 기회 5 해체와 기회, 그 사이
텍스트의 상호성과 신학의 자리
1 포스트모던의 틀에서 신학의 실재성
2 상호성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이해
3 상호성에 대한 기독교의 역사적 경험
4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상호성
5 상호성을 위한 우리 시대의 요청
가치 규범의 혼재 속 신학 유형
1 문화의 관계망 속 의미 사슬
2 과학과 종교의 반목
3 종교와 과학은 화합할 수 있는가
4 기계적•유물론적 세계관과 현대인
5 가치와 규범의 혼재 속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A
6 규범성과 탈규범성
적대적 이질성 속 신학 유형
1 낯섦의 극복, 소통의 코드
2 적대성이라는 편린들
3 문화적 적대성의 사례: ‘안티-기독교’
4 이질성과 적대성 극복을 위한 노력
5 낯섦과 타자성의 세계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B
6 소통을 향한 김교신의 성찰 종교의 다양성,
정체성 유지와 변용의 합종
1 다양성과 다원성
2 한국에서 종교적 다양성의 실태
3 종교적 다양성의 함의
4 종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신학 유형 C
5 종교적 다양성을 읽는 유영모의 포스트모던적 코드
중심성과 주변성에 대한 새 패러다임
1 주변성의 창의적 요소
2 전통 종교에 대한 비신화화
3 새로운 중심성의 희구
4 소수자 인권이냐 공동체 보존이냐
5 종횡의 사유와 이정용의 탈근대적 정체성: 신학 유형 D
6 중심성의 허구와 주변성의 창조성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황경식, 박범수, 이초식, 정인재, 이기상
발행일 1993 판형 신국판 쪽수 256쪽
ISBN 978-89-7105-056-9
도서 소개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과학기술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물질에 대한 풍요를 누리고 있는 반면 도덕성의 상실과 청소년의 가치관 혼란 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장과 발달이라는 대전제 아래에서 인간의 정신적 행복의 추구는 우선순위에서 물러나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1991년 '한국사회의 도덕적 위기극복을 위한 철학적 처방'이라는 제목의 연구과제를 공개모집하여 그 연구결과를 한 데 묶었다.
저자 소개
황경식. 철학 전공, 서울대학교 교수 논저로는 『토론꺼리 논술꺼리』, 『해리의 발견 1,2』 등이 있다.
박범수. 교육학 전공,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쇼펜하우어의 생애와 사상』, 「생의 철학으로서의실존철학」 등이 있다.
이초식. 철학 전공,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다시 '1만 시간 공부'에 도전하는 희열」, 「결단이론의 구조, 논점 및 응용」 등이 있다.
정인재. 동양철학 전공,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논저로는 「중공학계의 양명학 해석 (中共學界의 陽明學 解釋)」 등이 있다.
이기상. 철학 전공,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논저로는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지구촌 시대와 문화콘텐츠』 등이 있다.
차례
1. 민주 시민의식의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_ 황경식
2. 도덕과 교육의 문제점 _ 박범수
3. 도덕성 회복을 위한 논리교육 _ 이초식
4. 도덕성 회복을 위한 동양철학의 한 시론 ―인륜의 현대적 해석을 중심으로 _ 정인재
5. 우리 사회 청소년들의 방황과 탈선 _ 이기상
(추천 도서 2)
“포스트모던에서 신학하기”
저자 이상훈
발행일 2017-12-30
판형 신국판
쪽수 288쪽
ISBN 979-11-5866-273-8
도서 소개
사람들은 비슷한 문화 코드를 공유한 상태여야 언어로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다. 그런데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는 그런 전제들이 비논리적이고 상상 속에만 있다고 본다. 그러한 생각이 세대를 거쳐 자리 잡으면서 정체성의 파편화와 감각적 세계 인식은 하나의 생활양식이 된 듯하다. 저자는 이제 어떻게 정체성을 지키고 또 서로를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이 책은 현대인의 혼란을 해소할 방법으로 ‘믿음’에 주목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주체와 객체의 상호 운동성(담론)에 주목하여 근대의 합리주의, 이성중심주의를 해체한 과정을 추적하고, 근대의 과학적ㆍ기계론적 사유가 인간을 물질로 환원한 것을 비판한다.
중세 종교가 근대적 이성과 합리성의 물결에 휩쓸리던 시기를 반추하면서, 현대 사회의 혼돈 양상을 네 가지로 분류한다. 가치와 규범의 혼재, 적대적 이질 문화의 충돌, 종교의 다양성, 중심성과 주변성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각각 한경직, 김교신, 유영모, 이정용이라는 신학자를 등장시켜 주제를 전개한다. 감각할 수 없는 신의 존재를 확신하면서도 각자의 방식으로 현실을 살아내고자 했던 신학자들의 모습을 상세히 소개한다. 그들을 힌트 삼아 우리가 현대의 혼돈 속에서 자신을 세우도록 북돋는다.
저자 소개
이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드류대학교(Drew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문화로 엿보는 그리스도, 예수로 바라보 는 문화』(2003), 『신학적 문화 비평, 어떻게 할 것인가』(2005), 『인간 본성에 관한 신학적 사고』(2007), 『우리에게 민족은 무엇인가』(2010), 「Normadism and the Discovery of the Nation; The Case of Yun ChiHo」(2010) 등이 있다.
차례
들어가면서
포스트모던 사회 이해
1 철학의 종언과 포스트모던
2 인식의 새로운 지평, 이성 그 너머
3 포스트모던 담론 이해와 수용 문화
신학의 대두와 전개
1 ‘자아의 이해’를 넘어 재조합으로
2 주체에 대한 해석학적 반추
3 문자주의를 넘어서는 상징의 재발견
4 포스트모던의 새로운 기회 5 해체와 기회, 그 사이
텍스트의 상호성과 신학의 자리
1 포스트모던의 틀에서 신학의 실재성
2 상호성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이해
3 상호성에 대한 기독교의 역사적 경험
4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상호성
5 상호성을 위한 우리 시대의 요청
가치 규범의 혼재 속 신학 유형
1 문화의 관계망 속 의미 사슬
2 과학과 종교의 반목
3 종교와 과학은 화합할 수 있는가
4 기계적•유물론적 세계관과 현대인
5 가치와 규범의 혼재 속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A
6 규범성과 탈규범성
적대적 이질성 속 신학 유형
1 낯섦의 극복, 소통의 코드
2 적대성이라는 편린들
3 문화적 적대성의 사례: ‘안티-기독교’
4 이질성과 적대성 극복을 위한 노력
5 낯섦과 타자성의 세계에서 신학하기: 신학 유형 B
6 소통을 향한 김교신의 성찰 종교의 다양성,
정체성 유지와 변용의 합종
1 다양성과 다원성
2 한국에서 종교적 다양성의 실태
3 종교적 다양성의 함의
4 종교의 다양성과 정체성: 신학 유형 C
5 종교적 다양성을 읽는 유영모의 포스트모던적 코드
중심성과 주변성에 대한 새 패러다임
1 주변성의 창의적 요소
2 전통 종교에 대한 비신화화
3 새로운 중심성의 희구
4 소수자 인권이냐 공동체 보존이냐
5 종횡의 사유와 이정용의 탈근대적 정체성: 신학 유형 D
6 중심성의 허구와 주변성의 창조성 나가면서
참고문헌
'책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희 님의《광야를 읽다》 (0) | 2022.01.15 |
---|---|
다문화 선교 (0) | 2021.12.15 |
박지연,《안아 줄게요》 (0) | 2021.11.19 |
피 호슬리,《말하지 않고 동물과 대화하는 법》 (0) | 2021.11.11 |
조정래 「홀로 쓰고, 함께 살다」이재철「목사, 그리고 목사직」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