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정보사령관 노상원 수첩(정리/ 강성현)
- 가로 8센티, 세로 15센티 크기, 분량은 약 70쪽. 공조본 내 김용현 수첩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니, 현재 노상원 수첩으로. 내용이 파편적으로 적혀 있고, 노상원이 이에 대해 진술 거부. 노상원 기소 때 일단 증거로서 미포함.
- 2024년 4월 총선 전부터 계획. 수첩에는 시기를 총선 전과 후로 나누며 “총선 뒤 입법을 해서 집행하는 건 쉽지 않다. 실행 뒤 싹을 제거해 근원을 없앤다”, “지속적으로 싹을 잘라버리는 방법” 기록
- 계엄을 ‘행사’로 표현, 행사 사전, 사후 계획 정리
- “김용현 장관이 불러주는 대로 받아적었다”고 경찰에게 노상원 진술. 이와 관련해 김용현 장관도 부하들에게 “노상원 지시가 내 지시”라고 지시한 정황이 있는 만큼 수첩 내용이 실제 비상계획 계획 단계로 얼마나 이어졌는지 추가 수사 필요
■ 수집 분류와 수거 대상, 명단
- “500여명 수집” 구체적 체포 계획과 구치소 등 ‘수집소’에 보내는 방안 담김. “차기 대선에 대비 모든 좌파세력을 붕괴”시키겠다는 내용도 담김. -> 윤석열 정권의 장기집권 도모
- 1차 수거 대상에는 “여의도 30-50명 수거”(야권 인사), “민노총”, “전교조”, “민변”, “어용판사”(‘좌파 판사’) 등
- 수집 분류
: A급 분류 대상들에게는 “그룹별로 묶지 말고 섞어서 수집소에 보낸다”, “포승줄을 활용” 계획
- 체포 명단
정치인 : 이재명 대표, 정청래 의원, 서영교 의원, 고민정 의원, 윤건영 의원, 추미애 의원, 박범계 의원, 김민석 의원, 조국 대표, 문재인 전 대통령, 이준석 의원,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 등 “문 때청근무(행정관 이상), 황운하, 임종석, 김용민, 김의겸, 송영길, 윤미향, 기타 “문재인과 그 일당, 이재명 쪽 놈들”
공무원, 공기업 : “문 때 국정상활실장, 문 때 행정관 이상(현역 예비역, 경찰 포함), 문 때 차관 이상, 문 때 국정원 차장 이상, 문 때 국정원 하수인들, 문 때 경찰 중 의원된 놈 총경, 문 때 서울청장, 경찰청장, 기무사령관, 총장, 의장 등 수뇌부, 문 때 장관들 정책보좌관 한 놈들, 문 때 공기업 인사들, 문 때 정치검찰들(이성윤 등)”
방송인 : 김어준, 유시민, 김제동 등
판사 : 유창훈 판사(이재명 재판 구속영장 기각 판사), 권순일 대법관(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2020년 7월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 노랑 판사(민주화 시위 등 관대한 판결 법관 추정), 김명수,
사회 및 종교 단체 : “사이비 종교단체, 정의사회구현단(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추정), 퇴진운동재단 불교, 기독교, 대진연(한국대학생진보연합)”, 친북좌파, 종북 각종 조직, 전장연, 간첩수사받는 놈들
군 :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차범근, 좌파연예인”
■ 수집소 및 수거 조치 방법
- “수거 후 호송시 대책”, “수집소는 5개소, 정찰 준비”
- ‘수집소’ : “오음리, 현리, 인제, 강원도 화천, 양구, 울릉도, 마라도, 전방 민통선 쪽” 등 거론 -> 군 부대와 시설이 다수 있는 접경 지역을 뜻함
: “제주도 수집소 이송 중 사고 가스, 폭파(시한), 침몰, 격침”
- 수집소 운영
: “식사는 어떻게 시키나, 목욕은?, 군의관 배치, 일과는 어떤 식으로 하나?, 주범들 분리시키고 단게별 구치소로 이동 수용 등” 상세 고려 사항 나열. 무인도 등 수용 5개소는 “교도간부, 근무인원 편성, 경게병력 파견 운용” 관리
- 체포조 인원 편성 5-7명씩 한 조, 버스나 승용차 이용해 이동 계획
수집소 운용 간부로, “특전사 간부와 방첩사 영관 장교 or 헌병” 활용 계획, “사전 선별”해 “교육” 계획
- “여(인형 방첩사사령관) : 행사인원 지정, 수거명부 작성”, “박안수 계룡대: 수집 장소, 전투조직 지원” 등 이름과 역할 기록 -> 실제 벌어진 일로, 여인형은 비상계엄 당시 체포 명단을 홍장원 국정원 1차장과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전화로 불러준 사실 확인
- 수거 조처로, 1, 2차는 기무사(현 방첩사), 3-10차는 경찰 활용 기록
좌파 판사, 좌파 검사, 좌파 방송사 주요 간부 등에 대해서는 “김두환(김두한 오기) 시대 주목들을 이용해 좌파놈들을 분쇄시키는 방안” 강구
- “특별수사”와 “재판소”를 통해 수거 대상을 “사형, 무기형을 받게 한다” 내용 적시
: “경찰, 방첩, 헌병들”을 최대한 활용해 “특별수사본부”를 구성. “좌파들(수뇌부) 신속한 재판(구속)”을 위해서. 특별수사본부는 “6개월 – 1년 정도” 운영, “검사, 판사”로 구성. “중앙지검 활용”
: “특별 수사”와 “재판소”로 수집대상이 “사형, 무기형” -> 특수본으로 좌파를 구속하고 계엄군법회의로 사형 무기형 등 선고 계획
: “여소야대시 30-40명 조기 구속 조치하고 재판 통해 구속시킨다” 기록.
- “대대적 사면으로 공간 확보” -> 사면으로 교도소 등을 비운 뒤 체포 대상 수용 추정
- “조치는 가능하는 결국은 밝혀진다(수사를 할 수밖에 없다)” “어떻게 보복을 막을 것인가” 대안으로 “외국 중국 용역업체”나 “북”을 활용 방안
■ 4개 “수거 대상 처리 방안”
- GOP선상에서 피격, DMZ 공간
: 일반전초(GOP)에서 수거 대상 사살 방안으로, “수용시설에 화재, 폭파” 방안, “외부 침투 후 사살(수류탄 등) 방안 언급. 다만 ”선수 뽑기가 너무 어렵고 복잡하다“ 한계 적시. ”전문 프로가 필요“하고 ”외부(중국) 용역업체 또는 북의 및투로 인한 것으로 정리할 것“이라고 극복 방안 기록. 북한에 도움을 요구할 경우 ”무엇을 내어줄 것이고, 접촉시 보안 대책“ 강구
- 바닷속
: “NLL 인근에서 북의 공격을 유도”하거나 “북에서 (수거 대상이 탄 배를) 나포 직전 격침시키는 방안”, “교도소 한 곳에 통째로 수감”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급수, 화학약품” 사용 방안 -> 독극물 사살 계획
- 연평도 등 무인도
: “민간 대형 선박”과 “폐군함”을 이용해 이송, 폭발물을 “화물칸에 설치”한 뒤 “실미도에서 집행인원은 하차”하고 “적절한 곳에서 폭파”. 폭발물은 “기관 or 배 하부”에 설치, “증거물이 잔해로 남지 않게”해야 한다는 내용. “발신기에 의한 폭발은 안될 수도 있다”, ‘시한폭탄’ 활용 검토. -> 인천항 출발, 시한폭탄 설치, 실미도에서 집행인원 하차, 배를 연평도 방향으로 보내 폭발
- 민통선 이북 등
: “막사 내 잠자리 폭발물 사용” 방안. ‘용역, 특수 요원, 예비역, 지원자’ 등을 활용해 수거 대상을 폭발물로 처리. “막사 시설 보수팀에서 진입 후 설치”하고 “확인 사살” 계획
■ ‘행사’
- ‘D-1’일 “미국 협조, 준비명령, 행사준비 점검” 이행계획 기록
- ‘D’데이 : “(명분) VIP 담화 장소 구체화 요망”
: “출금 조치” 방안 고민 1. ‘전 국민’, 2. ‘선별’ 두 개 고려
: “수거대상별 수거팀 차량, 호송, 무장, 사전교육 등”도 D데이 계획에 포함
: ‘여의도’ “0900경 진입”, “수가대상” 확보, “출입구 등 접수”, “모든 민간 출입 통제”, “여의도 매복 점령, 진입은 언제 시키고 무장 정도와 복장은” 기록
- D+1 – D+10 “추가 수거대상 수거 후 수집소로 이송” 계획
: 계엄 뒤 10일에서 50일까지는 “서울 외 지역 수집대상 수거작전”, “지역별(도)위원장 임명”, “지휘소”를 “과천 합참 아래 배속시킨다” 계획 -> 계엄 때 합참 지휘소를 경기도 과천에 설치 구상 -> 과천에 방첩사, 수방사, 통신사 등 주요 사령부 위치 이유
: 여러 기관에서 인원 파견 방안. 검찰, 경찰요원, 조사본부, 합참, 국방부 등 언급. “박씨(박안수 육참총장 의미)는 지휘소 구성”, 지휘소 운영은 “영관장교 100여명 구성, 상황팀(3교대)” 등 게획, “지휘소 요원 숙영 대책 강구”
“여의도 봉쇄”
: “진입로 봉쇄, 울타리 방호, 식사: 도시락, 사복 준비, 봉쇄기간 2-3주”
■ ‘행사’에 대한 저항 발생시 군 동원 계획
- “역행사 대비” : “전담(민주당 쪽)”, “9사단 30사단” 기록 -> 야당을 포함한 국민적 저항이 있을 경우를 ‘역행사’로 부르며 경기도 고양에 배치된 육군 9보병사단(12.12군사반란 당시 노태우 사단장의 부대)과 30기갑여단 동원 계획
- “용인: 역행사 방지 대책 강구” -> 용인은 지상작전사령부 위치. 한미 연합군사령부의 지휘를 받는 지상구성군사령부 역할 -> 지작사는 공식 부인 상태
■ 체포 전국화 계획
- ‘중앙’ 수거를 완료한 뒤 “한달 내로 지방도 수집 대상 수거” -> 체포의 전국화 구상
: 별도의 “지방 수거팀” 운용 계획 적시
: “행사 후 군수급은 민선x, 중앙에서 임명” -> 군수 이상 지자체장 선거가 아닌 임명제 구상
■ 헌법 개정과 장기집권 구상
- “헌법, 개정(재선-3선)”
: 비상계엄 선포 뒤 “국회, 정치를 개혁”, “민심관리 1년 정도” 뒤 헌법을 개정해 윤 대통령의 연임 계획
- ‘행사 후속조치 사항’
: “헌법, 법 개정”, “3선 집권 구상 방안” “후계자는?” 기록 -> 헌법 개정 윤
- 대통령의 3선 집권 시도 구상,
: “국가안전관리법 제정” -> ‘수거 대상’ 반대 세력들을 척결하기 위해 근거 법령 제정 시도 의심
- 선거제도 관련
: “중국, 러시아 선거제도 연구”
: “국회의원 숫자: 1/2”, “선거구 조정”, “선거권 조정”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