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아/영성

”전도는 한국인의 정서로 접근하라“ 한국인의 정서로 전도를 접근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는 다섯 가지..

ree610 2025. 1. 18. 19:14

”전도는 한국인의 정서로 접근하라“
한국인의 정서로 전도를 접근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

1. 기(氣): 한국인들은 ‘기운’을 중요하게 여기며,
기운을 모으고 유지하는 것을 중시합니다.
전도 시에도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고 격려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2. 흥(興): 한국인은 즐거움을 통해 몰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찬양이나 감동적인 간증을 활용한 전도 방법이 한국인의 흥을 끌어올려 자연스럽게 복음에 관심을 갖게 합니다.

3. 정(情): 인간관계에서 깊은 정을 나누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따라서 전도를 할 때 단순히 논리적인 설득보다는 진심 어린 관심과 사랑을 보이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한(恨): 한국인의 문화에는 ‘한’이라는 감성이 있습니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복음이 어떻게 회복과 치유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 효과적인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5. 우리(우리 의식): 한국인은 공동체 중심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신앙 이야기보다는 ‘우리 가족, 우리 공동체, 우리 교회’라는 관점을 강조하여 전도하는 것이 공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전도 전략
• 공감 기반의 접근: 전도 대상자의 삶과 정서를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계 전도: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기존의 관계망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감성적 요소 활용: 찬양, 간증, 문화 콘텐츠(영화, 연극 등)를 활용한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정서를 고려한 전도 방식은 한국인의 마음을 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도는 하나님 나라 확장의 방법인 동시에,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과 인간성 회복을 통해 이웃을 사랑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하나님의 섭리의 실현이다.” — 전원균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