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정과/설교 자료

여호수아 21:1~19 <사용하도록 내어주는 소유> 찬송 246장 나 가나안 귀한 성에 I. 레위 지파에게 성읍을 나눠줌 (수 21:1-8)

ree610 2025. 1. 30. 18:22

여호수아 21:1~19
<사용하도록 내어주는 소유>
찬송 246장 나 가나안 귀한 성에

I. 레위 지파에게 성읍을 나눠줌 (수 21:1-8)

  (1) 레위 지파의 청원이 실로에 자리한 대표자 총회에 제시되었다(1,2절).

   1)그들은 이 청원을 할 때까지 아직 자신들의 분깃을 배당받지 못했다. 그들의 주장은 아주 타당한 근거가 있었다. 즉 자신들의 공로나 직분이 아닌 하나님의 명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여호와께 모세로 명하사 우리의 거할 성읍들과 우리의 가축 먹일 그 들을 우리에게 주라 하셨었나이다. 이는 당신들에게는 그 땅을 우리에게 주라고 명하신 것이며, 아울러 우리에게는 그것들을 요구하라는 명령이기도 합니다." 사역자들의 생계가 순전히 성도들의 호의에 내맡겨져 임의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주목하라. 만일 그렇다면 성도들이 원할 때 사역자들을 굶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 아닌가 절대로 그렇지 않다.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레위 사람들이 적절히 보살펴지도록 명하신 것처럼 교회의 왕이신 주 예수께서도 복음을 전파하는 자들이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게 되리라고 정해 주셨다(고전 9:14).

   2)그들은 다른 모든 지파가 기업을 얻기까지는 요구하지 않다가 기업 분배가 끝나자 곧 자신들의 요구를 하였다. 그들은 기꺼이 마지막에 배분받고자 했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결코 더 나쁘게 대우받았던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사역자들은 인간의 사고방식으로 볼 때 늦어지는 것 같이 보일 지라도 불평하지 말고 하나님의 은총과 그로부터 오는 존귀함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

  (2) 레위 지파의 청원은 아무 이의없이 곧 수락되었다.

   1)이스라엘 자손이 레위 지파 사람들을 위해서 성읍들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께서는 모두 마흔 여덟 개의 성읍을 지정하셨었다. 하나님께서는 `각기 얻은 산업에 따라서 그 성읍들을 레위인에게 줄지니라`고 정하셨다(민 35:8). 나중에 나오는 설명을 보면 이스라엘 자손이 레위 지파에게 준 성읍들은 대개 각 지파에서 가장 좋거나 중요한 것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2)그들은 `여호와의 명을 따라` 성들을 주었다.

   3)마흔 여덟 개의 성읍이 선정되자 그들은 이것들을 서로 가까운 것끼리 묶어서 레위 지파내의 가족 수에 따라 네 분깃으로 나누었다.

   ①유일한 제사장 가문이었던 아론의 가문은 유다, 시므온, 그리고 베냐민 지파로부터 십삼 성읍을 자기들의 몫으로 받았다(4절).

   ②그핫 족속 레위인들(비록 구분할 수는 없으나 그들 가운데는 모세의 후손들이 있었다)은 유다 지판 가까이에 있는 단 지파의 분깃에 속한 성읍들과 베냐민 지파 옆에 있는 므낫세 반 지파의 성읍들, 그리고 에브라임 지파의 성읍들을 소유했다. 이렇게 해서 아론과 일가되 자들은 아론의 자손들과 가장 가까이 있게 되었다.

   ③게르손은 레위의 장자였다. 그러므로 비록 동생인 그핫 자손의 집이 그의 집보다 앞섰다 할지라도 그의 자손들은 므라리 자손보다는 앞서게되었다(6절).

   ④가장 막내인 므라리의 가문은 마지막으로 분깃을 받았는데 그것은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다(7절).

Ⅱ. 레위 지파의 분깃으로 주어진 성읍들의 목록 (수 21:9-42)

우리는 이것에 관하여 율법에서 발견할 수 있는 사실들을 제외하더라도(민 35장) 본문의 설명에서도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다.

  (1) 레위인들은 각 지파 가운데로 흩어졌으며 나라 안 어느 한 지역에 모여 살 수 없었다. 그리스도께서는 열 두 사도를 한 몸으로 남겨 두셨으나 때가 되면 제각기 흩어지라는 말씀을 남기셨다. 이는 모든 족속에게 복음을 전파케 하기 위함이었다.

  (2)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는, 아무리 멀리 떨어진 곳에 있다 할지라도 그 지역의 크기에 비례해서 레위인들에게 성읍들을 줌으로써 자기 지파를 돋보이게 하고 풍족하게 하였다.

   1)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명하신 대로 관대함을 보이기 위해서였다(신 12:19;14:29).

   2)이는 또한 레위 사람들로부터 권고와 훈계를 받기 위함이었다. 그들이 회막으로 올라가지 못하여 회막에 있는 사람들과 의논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레위 사람들의 성읍으로 가서 여호와의 선한 지식을 배울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이 하나님께서는 그의 집의 모든 방에 양초를 두시고 모든 가족들에게 불을 밝히신다.

  (3) 아론의 자손들, 즉 제사장들을 위해서 지정된 성읍들은 십삼 개로서 가장 좋은 것들이었다(19절). 아론은 엘르아살과 이다말, 단지 두 아들만을 두었으나 이제는 상당히 번성해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이 성읍들을 다 채울 만큼 크게 번성케 되리라는 것이 예견되어졌다.
우리는 신구약 성경에서 애굽을 탈출한 이스라엘의 모든 가족들 중에서 아론의 가족만큼 번성한 가족은 또 없을 것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제사장 수효가 많았던 것을 읽을 수 있다. `여호와께서 너희 곧 너희와 또 너희 자손을 더욱 번창케 하시기를 원하노라`(시 115:12,14)는 약속은 아론의 집에 대한 약속이기도 했다.

** 나의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내게 주시는 은혜와 교훈과 축복은 무엇인가?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자기의 기업에서 이 성읍들과 그 목초지들을 레위 사람에게 주니라 (여호수아 21:3)

** 자기의 기업에서 주니라

* 레위 지파의 요구(21:1, 2)
그들의 요구는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명하신 것이기 때문에 정당한 것이었습니다(민35:1-9). 레위 지파는 하나님께서 구별하신 지파로(신10:8), 성막에서 섬기는 직무를 행했는 데(민16:9), 이렇게 하나님의 일을 하는 자들에게 거할 성읍과 들이 제공되는 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사람들의 요구는 하나님의 명령과 그분의 섭리를 바탕으로 해야만 합니다.

* 흩어져 거주하게 된 레위 자손(21:8-42)
이는 레위 자손으로 하여금 온 백성들의 일꾼으로 일하게 하기 위한 하나님의 섭리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이들을 어느 한 곳에 편중해서 살게 하지 않았고, 윤택하거나 궁핍함을 가리지 않고 정해진 곳에 거주하게 하셨습니다. 이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하나님의 사람들은 어느 장소든 구애받지 않고 믿음으로 생활에 자족하며 살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약속을 성취하시는 하나님의 신실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주님! 말씀을 섬기는 사역자들에게 복음으로 말미암아 살게 하시고 그 말씀에 순종하는 성도되게해 주옵소서. 아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