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고 싶은 이야기

김병조(金秉祚, 1877~1950) 목사 - 민족대표 33인에 선정되다

ree610 2018. 12. 11. 15:53
무명의 목사, 민족대표 33인에 선정되다

[ 3.1운동100주년기획 ] 기독교교육사상가열전 5. 김병조 <1> 김병조(金秉祚, 1877~1950) 목사

김형석 목사
2018년 12월 11일(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원 일동(1919년 10월 11일). 2열 왼쪽에서 다섯번째가 김병조목사./출처 독립기념관
김병조는 한국교회사에서 알려지지 않은 무명(無名)의 목사이다. 더욱이 그가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이었다는 사실은 아는 사람조차 거의 없다. 그러나 그의 인생 역정을 살펴보면 평생토록 목회자의 길을 걸으면서도 3.1운동으로부터 출발하여 임시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독립운동가이다. 또한 서당의 훈장에서 출발하여 변산학교(평북 구성)와 인성학교(중국 상해) 경신학교(평북 용천) 등을 설립하고 후학을 가르친 교육자이다. 그가 목회하는 현장에는 항상 부설 학교가 존재했다. 거기에 덧붙여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와 쌍벽을 이루는 '한국독립운동사략'을 저술한 역사가이기도 하다. 이처럼 다방면에서 활동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한국교회사에서는 무명의 목사로 머물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3.1운동 당시 그의 역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

김병조는 1877년 1월 10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김경복(金京福)의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호는 일재(一齋)이다. 6세부터 마을 서당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20세에는 구성군 관서면에 서당을 열어서 훈장노릇을 했다. 31세인 1908년에는 구성군 방현면에 변산학교(辨山學校)를 설립하고 민족교육에 동참했다. 1909년 9월 김관근(金灌根) 목사의 전도를 받고 입교하였으며, 1911년 1월에 세례를 받았다. 1913년 평양신학교에 입학한 후에는 의주 관리교회(館里敎會) 조사로 일하다가 1914년 8월 장로로 장립됐다. 이 시기에 그는 독립운동가로 이름을 떨치던 이승훈(李昇薰) 함태영(咸台永) 등과 신학교를 같이 수학하면서 민족문제에 눈뜨게 되었다.

1917년 6월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8월 목사 안수를 받은 후 관리교회 목사로 시무했다. 그러던 중 1919년 2월 12일 선천남교회에서 열린 평북노회에 참석 차 유여대(劉如大) 이명룡(李明龍)과 함께 양전백(梁甸伯) 목사 집으로 찾아갔는데, 이때 서울에서 최남선(崔南善) 최린(崔麟) 등과 회동하고 천도교와 기독교가 합작하여 3.1운동을 일으킬 것을 약속하고 내려온 이승훈이 그곳에 도착했다. 이승훈의 설명을 들은 이들은 즉석에서 민족대표로 참여키로 결의하고 서명했다. 이들이 갑작스런 만남에도 의기투합할 수 있었던 것은 평북노회에서 여러 해 동안 같이 활동하면서 서로 신뢰를 쌓았기 때문이었다.

이렇게 김병조는 기독교 대표의 일원으로 민족대표 33인에 선정되었지만, 3월 1일 태화관 독립선언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그것은 선천 모임에서 역할을 정할 때, 이승훈과 양전백은 독립선언식에 참석하고, 유여대는 의주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며, 김병조는 평북 각지를 돌며 시위 소식을 전파한 후 상해로 건너가서 해외 지사들과 접촉하기로 약속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병조는 도내를 순회하며 만세시위 확산에 힘쓴 후 중국으로 망명했다. 이때 만세시위 참여를 촉구하는 '격고아한동포문'(檄告我韓同胞文)을 만들어서 가는 곳마다 배포했다.

"슬프다. 우리 팔도의 동포여! 깊은 잠에 빠져있음을 크게 뉘우칠지어다. 하늘의 모습을 우러러보아라, 동방의 밝은 별이 이미 밝았다. 시국 형편을 두루 살펴보아라, 집집마다 경종이 스스로 울리니 휘날리는 태극기는 제군들의 조국 정신을 활발하게 하고, 열렬한 만세 소리는 제군들의 일체 생명의 맥박을 다시 뛰게 하도다." - 김병조, '격고아한동포문' 중에서

이처럼 김병조는 평북 각지를 순회하며 만세운동을 독려하고 이후 상해로 건너가 임시정부 수립에 큰 역할을 감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사실을 제대로 몰랐던 역사가들은 단지 그가 민족대표로 서명하고도 서울 태화관에서 모인 선언식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역사의 이단자로 내몰리고 말았다.

김형석 목사 / 역사학 박사, 통일과역사연구소 소장